2017. 8. 8. 20:26ㆍ생활필수 꿀정보
중이염 질환, 9세이하 소아·아동이 절반이상 차지
* 2015년 진료인원 216만 명 … (남) 103만 4천 명 (여) 112만 4천 명 - 9세 이하(54.0%), 10대(8.8%), 50대(7.6%) 순
* 9세 이하(건강보험 적용대상 454만 3 천 명) 중 26%는 중이염 진료환자
★ 중이염은 대체무었인가 ?
☞ 고막과 내이(달팽이관) 사이의 공간을 중이강이라 하는데 이곳에 일어나는 모든 염증성 변화를 총칭함
○ ‘중이염’ 질환의 원인
- 여러 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주로 코와 귀를 연결하는 이관의 기능장애와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 가장 큰 원인이다.
○ ‘중이염’ 질환 검사방법
- 외래에서 이경이나 이내시경을 통한 간단한 검사로 쉽게 진단이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순음청력검사, 고막 운동성 검사, 측두골 단층촬영 등을 시행하여 확인할 수 있다.
○ ‘중이염’의 증상 및 합병증의 종류
- 원래 비어있는 공간인 중이강에 염증이 생기면 삼출액이나 고름이 차고 청력 장애가 나타난다. 증상이 심해지면 고막의 천공과 함께 이루(고름이 귀 밖으로 나오는 것)가 생기고 귀의 통증과 어지럼증이 동반될 수 있다. 드물지만 염증이 뇌로 진행되거나 달팽이관에 구멍을 만들어 심한 합병증을 가져올 수도 있다.
○ ‘중이염’의 치료법
- 급성 중이염은 항생제를 비롯한 적절한 약물치료를 주로 시행하고 삼출성 중이염의 경우 3개월 정도 경과 관찰 후에 환기관 삽입술이나 아데노이드 절제술 등을 고려한다. 만성 중이염은 적절한 약물치료나 수술적 치료(유양돌기 절제술, 고실 성형술 등)가 필요하다.
○ ‘중이염’의 예방 및 관리요령
- 아직까지 중이염을 예방하기 위한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 보통 급성 중이염이 진행되어 만성 중이염으로 이행되기 때문에 특히 소아의 경우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병의 진행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귀의 통증이나 이루, 청각장애 증상이 발생하면 빨리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생활필수 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다래끼 비상 ! 10대 20대 젊은층 여성환자 급증 (0) | 2017.08.09 |
---|---|
입안이 헐고 피가 날 때 생기는 입안 염증 (구내염) (0) | 2017.08.09 |
불임.. 남의 얘기가 아니다! 30대 ~ 40대 에서 증가율 가장 높아 (0) | 2017.08.08 |
여성발병률2배 공공의적 하지정맥류 증상부터 원인까지 알아보자 (0) | 2017.08.07 |
여름철 개팔자병 냉방병을 알아보자 (0) | 2017.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