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저축vs저축보험? 종신보험? 저축상품아니라며 제테크라니 ?

2017. 11. 30. 17:18쿠팡꿀템

 

요즘 종신보험을 저축보험처럼 속여서 판매하는 일부설계사들 때문에 약관위반 고지의무 위반이라는 얘기가 많아서 제가 직접 찾아봤어여

우선 종신 보험이란 죽을때 까지 종신으로 보장해준다는 보험입니다.

근데 이게 무슨 제테크냐 할 수 도있겠지만

요즘 같이 초저금리 시대에 장기간 보장해주는 상품은 없죠

일부 모르는 분들은 은행적금을 5년짜리 가입하면 된다고 하시는분들도 있는데

은행은 2년 넘는 상품은 정확히 말해서 보험상품입니다.

은행과 보험 회사가 제휴를 하여 방카슈랑스라는 상품을 은행에서 판매 하는 것이죠

전문용어로 (방카)라고 하시는분들도 많죠 ㅎㅎ

 

그럼 보편적으로 알고 계시는 적금의 단리 구조를 알려드릴게요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은행단리보다 보험상품의 복리를 이용하는겁니다.

그럼 다시 돌아가서 종신보험을 어떻게 제테크로 사용하냐 라는 핵심으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제가 분석해본결과 변액보험이나 연금보험이 아닌 종신보험을 저축 보험 상품처럼 활용하려면

3가지 조건이 필요했습니다.

 

1.적은납입개월 2.최대 1:2의 추가납입 3.최저보증이율보장

2. 이말은 즉 짧게 납부해야하며 ( 납입개월수가 길어지면 상대적으로 지친다. = 또한 통계자료로 20년납입 보험상품 유지 확률이 30%가 안된다고 한다)

3. 추가납입 이게 핵심입니다. 일부 설계사들은 종신보험을 적금상품인척 속여서 판매하기 때문에 추가납입이 무었인지 알려주지도 않습니다.

( 보험회사는 봉사활동 단체가 아닙니다. 즉 10만원짜리 보험상품을 들면 사업비라는 것의로 5천원이 빠져나갑니다. 사업비에는 보험회사유지비,광고비,본사월급,설계사활동비,설계사수수료,임대료,전기세 등등 여러가지 항목이 포함되어있다)

 

즉 내가 보험가입을 한달에 20만원씩해서 10년뒤를 생각하고 가입하려고 하신다면  

주계약비 10만원에 + 추가납입 10만원을 하게되면 주 계약에 대한 10만원의 사업비5천원만 빼가는데

그점을 알려주지 않고 주계약비 20만원으로 계약을 진행하여 사업비 1만원을 때서 자기 배를 불리기 위함이죠

어때요? 살짝 이해가 가셨나요 ?

3. 가입안내서를 잘 읽어보면 바로 앞에 딱 써 있거든요 종신보험은 저축 상품이 아닙니다. 일부 설계사(열정을 갖고 일하시는 전문가분들에게 죄송합니다) 사기를 당하지 않을 수 있죠  그러나 우리는 종신보험을 저축성으로 사용하려고 하는데 공시이율(현재 이율)보다 최저보증이률! 이점을 반드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자 그럼 글을 마무리하면서 다시 한번 핵심을 알려드릴게요

1. 은행상품중에는 복리상품이 없고 이율이 너무 낮다.

2. 그렇기떄문에 저축보험이나 종신보험을 활용하는데.

3. 종신보험을 활용할시는 반드시 납입기간을 줄이기 + 추가납입할것 + 최저보증이율확인

4. 마지막으로 10년동안 놔둬서 비과세 혜택받기 (보험상품은 10년이상 유지시 해지환급금이 원금을 넘어도 이자소득을 납부하지 않을 수 있다.)

5. 예를 들어서 30만원적금을 가입하고 싶다 =

ㄱ. 최저보증이 좋은 회사 + 최저보증좋은상품을찾는다. 

ㄴ. 5년납기(선택가능한최저납기) 10년거치(비과세혜택받기위해)

ㄷ.주계약 15만원 + 추가납입15만원

ㄹ. 5년간납부하고 5년간나둬서 10년째에 찾는다 (여유가된다면10년20년나둬도 상관없다= 물가 상승률을 고려해도 더 좋다.)

 

다음 글에서는 특정회사를 찝어서 비교해볼게요